찜닭, 불닭, 소셜커머스, 인공지능, 가상화폐, 블록체인
오늘의 디스커버리 2018. 6. 3. 23:27 |'오늘의 디스커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ve Jobs' opinion about Marketing (0) | 2018.09.11 |
---|---|
사업의 본질 (0) | 2018.07.05 |
역량의 관성 (0) | 2018.05.31 |
계속 생겨나는 샘물과 그대로인 샘물 (0) | 2018.01.20 |
1987 (0) | 2018.01.11 |
Steve Jobs' opinion about Marketing (0) | 2018.09.11 |
---|---|
사업의 본질 (0) | 2018.07.05 |
역량의 관성 (0) | 2018.05.31 |
계속 생겨나는 샘물과 그대로인 샘물 (0) | 2018.01.20 |
1987 (0) | 2018.01.11 |
옛날에, 학교 선배들이 첫 직장이 참 중요하다고 왜냐면 첫 직장 업종으로 거의 평생 먹고 살게 될거니까 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는데, 이 말이 요즘 참 많이 와닿음.
21살 때 첫 장사를 시작했는데(나도 장사/사업 짬밥 좀 되는 듯..) 그게 닭꼬치 노점상이었고 지금 식품제조로 자리를 잡았다는거 보니 참 일리가 있구나 ㅎㅎ
그 동안 여러 장사꾼들, 사업하는 사람들 만나봤는데 정말 맞는 말인듯. 처음부터 숫자의 결과물을 반드시 얻어내야한다고 믿고 거기에 집착에 가깝게 매달린 친구는 결국 큰 숫자를 얻어냈고, 스무살 때부터 노점상하신 사장님은 처음부터 '맛'에 대한 어마어마한 선천적인 미각과 high standard 덕분에 지금은 콩나물국을 끓여도 감동이 나올 정도의 맛을 내는 분이 되었음. 다른 한 분은 오래전에 처음 만난 자리에서 알 수 없는 어려운 말로 사업 컨셉 설명해주는데 도무지 이해가 안 가서 두번 세번 재차 물어보며 다시 설명해달라고 해서 또 들은 설명조차도 이해가 안가서 그냥 넘어가고 좀 얘기하다가 이거 무슨 뜬구름 쫓는 일 같구나...하는 느낌 들었음. 그 뒤로 참 오랜 시간이 흘러 지금 그 분 하는 사업을 보니 지금도 알 수 없는 어려운 말 일색으로 뜬구름 좇는 걸로밖에 보이지 않는게 참... 처음 뜬구름/허상을 좇기 시작한 사람은 끝까지 뜬구름/허상을 좇는구나 ㅎㅎㅎ 뭐라 말해주고 싶지만 씨알도 안 먹히겠지 ㅎㅎ 아마도 죽을 때까지 뜬구름/허상을 좇겠구나... 허상을 좇는 능력을 제일 오래 쌓았으니 어쩔 수가 없겠지ㅎㅎ
여자저차 같이 일하지 않게 되었지만, 같이 일하지 않았다는게 지금 생각해보면 너무너무 다행ㅋㅋ 심지어 사람 보는 눈도 없어 보였는데, 사업가한테는 사람 보는 눈이 거의 뭐 99프로 중요하지 않나. 이래저래 참 안타깝구나.
(비슷한 맥락이긴 한데, 내가 투자 유치 번번이 실패한게 어찌보면 지금 나에게는 정말 잘 된 일인거 같음. 안그래도 몽상가에 가까운 옛날 그 상태에서, 투자 유치까지 받았다면 지금 뭐 거의 이상주의의 극단을 달리지 않았을까 하는 아찔한 생각이 드는게 참 어휴)
사업의 본질 (0) | 2018.07.05 |
---|---|
찜닭, 불닭, 소셜커머스, 인공지능, 가상화폐, 블록체인 (0) | 2018.06.03 |
계속 생겨나는 샘물과 그대로인 샘물 (0) | 2018.01.20 |
1987 (0) | 2018.01.11 |
Viva La Vida (0) | 2017.10.01 |
계속 생겨나는 샘물과 그대로인 샘물이 있는데,
내가 매일매일 마시는 물의 양은 계속 생겨나는 물에 반드시 비례해야 한다.
여기서 물=돈
로또 당첨자가 결국 파산하게 되는 이유이기도.
물론 '그대로인 샘물'이 결국 '계속 생겨나는 샘물'로 바뀌는게 자본주의의 이치이긴 하지만, 그건 부자가 된 뒤에나 가능한 일이므로 패쑤.
찜닭, 불닭, 소셜커머스, 인공지능, 가상화폐, 블록체인 (0) | 2018.06.03 |
---|---|
역량의 관성 (0) | 2018.05.31 |
1987 (0) | 2018.01.11 |
Viva La Vida (0) | 2017.10.01 |
시발 존내 힘들다 (0) | 2017.02.10 |
우리나라 현대사의 핵심 중에 핵심인 민주화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는 명작. 고등학교 근현대사 정규 교육 과정에 '우리나라 민주화의 극전환점'이라는 제목과 함께 시청각자료로 넣어도 무리가 없을 정도라 생각함.
이 영화를 보고 이 땅의 시민으로서 무한한 책임을 느낌. 김영삼 정권 이전까지의 우리나라는, 그토록 시민들의 눈과 귀를 막아도 1)사회의 핵심 문제가 비교적 뚜렷하게 보이고(지금보다는) 2)부패한 지도층이 멍청한 덕분인지 얼굴 철판 깔고 부패 정책을 참 뻔뻔하게도 들이대고 있었으며 3)사회 전면에 나서는 특정 그룹(대학생)이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음. 반면, 김영삼 이후로, (아니 이명박 이후로) 1)부패 집단이 똑똑해진 건지(아니 그 때보다 진화를 해서인지) 모르겠지만 2)부패 행위가 점점 교묘해지고, 일정 수준 이상의 정보 접근 권한이나 전문화된 지식 없이는 그 부패 행위가 잘 안보이고 있으며 3)이제 특정 그룹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있음(먹고 살기 힘들어져서 그런 건지, 아님 그들이 밥줄을 끊어 놓고 있어서인지 모르겠음)
세계 어느 나라를 가더라도 민주화된 나라를 보면 '민주주의는 피와 땀을 먹고 자라는 나무(이게 맞나 모르겠네)'라고 하는 말이 바로 와닿을 정도로 적어도 100년 이상을 국민들이 피와 땀을 바쳐 일궈냈다. 그 과정에서 특정 그룹(특히 젊은 층)의 희생이 제일 컸다는 점은 우리나라도 공통임. 일정 과도기가 지난 후에는 결국 해당 국민의 시민 의식의 평균에 수렴해서 정치가 굴러가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이제 우리나라도 우리 시민 의식의 평균에 수렴하는 정치 수준을 보이고 있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 먹고 사는데도 바쁘다는 아주 그럴싸한 핑계대며 정치에 무관심한 지난 10여년 동안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다시 한 번 되짚어볼 필요가 있지 않나. 우리에게 또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같은 독재자가 나오지 않으리란 법은 없다. 특정 대주주가 하고 싶은대로 굴려 먹는 주식회사처럼 했다가 말아먹는 나라꼴은 이미 모두가 봤으니 1인 1표를 기본으로 시민 의식의 평균을 더욱 수준 높여 나가야 하니까 제발 정치에 관심 갖고 투표 꼭 해라 이 투표 안하는 인간들아.
그래도 우리나라는 옆 동네 어느어느 나라들처럼 위에서부터의 지들 입맛에 맞는 혁명/개혁보다는 아래로부터의 혁명/개혁 위주였다는 건 참 다행.
역량의 관성 (0) | 2018.05.31 |
---|---|
계속 생겨나는 샘물과 그대로인 샘물 (0) | 2018.01.20 |
Viva La Vida (0) | 2017.10.01 |
시발 존내 힘들다 (0) | 2017.02.10 |
가슴 뭉클한 느낌 (0) | 2016.11.26 |
기억의 파편들을 고이 모아 소중히 가슴 저 편에 꼭꼭 묻어 둔다.
그리고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다시 꺼내 본다.
그 기억이 흐릿해져서 잊혀질 그 즈음에.
인연이 닿으면 만나겠지.
억지로 인연을 만들려 하지 말자.
그 마음이 집착이 되어서는 안된다.
그럼 그거는 사랑도, 인연도 아니게 된다.
9/13 (0) | 2018.09.13 |
---|---|
우연히 마주치길 (0) | 2018.06.20 |
20160915 (0) | 2016.09.15 |
... (0) | 2013.08.03 |
이탈리아 여행 with 베이지색 비틀 (0) | 2013.08.03 |
계속 생겨나는 샘물과 그대로인 샘물 (0) | 2018.01.20 |
---|---|
1987 (0) | 2018.01.11 |
시발 존내 힘들다 (0) | 2017.02.10 |
가슴 뭉클한 느낌 (0) | 2016.11.26 |
지옥길을 걷고 있다 (0) | 2016.11.25 |
21살 때였나, 대학 수능에 실패하고 쓰레기처럼 살았다. 뭐 하나 되는 게 없는 그런 잉여 인간이었다. 그러던 찰나에 뭐라도 해봐야겠다는 생각에 닭꼬치 노점상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나도 모르게 들었다. 당시에 아버지 사업의 핵심 수익원이 닭꼬치 생산이었다. 그래서였나, 닭꼬치를 팔아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나보다.
정말이지, 아무 대책 없이, 아무 계획도 없이 시작했다. 내 돈으로 시작한 것도 아니고, 순전히 아버지 돈으로 시작했다. 노점 카트 꾸며다가... 무슨 취미도 아니고 그보다 더 준비가 안된 장난에 그쳤었던거 같다. 그러니 당연히 필사적으로 덤비지도 않았었다. 목숨 걸고 뛰어도 될까말까한게 사업인데... 그렇게 몇 달 했나, 그냥 하기 싫어져서 접었었다. 난 그렇게 다시 쓰레기로 되돌아갔다. 아무 것도 이루지 못한 채로.
지금 생각해보면 그 땐 참 내 자신을 '쓰레기'라고 표현하는게 최적인 거 같다. 뭐 하나 제대로 할 줄 아는게 없고, 밥값 조차도 못하고 있었으니, '쓰레기'가 나의 호칭으로 딱이었다.
죄책감에 시달리며 그 시절을 보냈다. 뭘 해도 안되는, 할 줄 아는거 하나 없는, 책임감 하나 없는 그런 쓰레기로 그 시간을 보냈다.
7/28 (0) | 2018.07.28 |
---|---|
7/21 품질만이 전부는 아니다. (0) | 2018.07.21 |
실패 기록 남기기 - 리스트 (0) | 2017.08.25 |
시발 얼마나 더 삽질을 해야 하나 (0) | 2017.06.12 |
2/22 (0) | 2017.02.22 |
실패&중단 기록 남기기 - 리스트
1. 닭꼬치 노점상, 21살 때(2001년) - 중단
2. 원어민 전문 헤드헌팅, 29살 때(2010년) - 중단
3. 티셔츠 만들어 팔기, 30살 때(2011년) - 실패
4. 영어 원어민 회화, 33살 때(2014년) - 실패
5. 간식 전문 커머스, 33살 때(2014년) - 실패
6. 소스 제조업 시작, 34살 때(2015년)
7. 식당, 35살 때(2016년), 중단
8. 반찬 전문 제조
9. 현재 소스 제조업 계속
* 중간중간 조금씩 깔짝댄거는 제외. ex. 샴푸 덤핑으로 한보따리 사다가 을왕리 해수욕장에서 3개에 1,000원에 팔기 등
7/21 품질만이 전부는 아니다. (0) | 2018.07.21 |
---|---|
실패 기록 1. 닭꼬치 노점상 (0) | 2017.09.11 |
시발 얼마나 더 삽질을 해야 하나 (0) | 2017.06.12 |
2/22 (0) | 2017.02.22 |
161126 (0) | 2016.11.26 |
에휴... 시발 진짜 얼마나 더 삽질을 해야 되나 이거
삽질을 너무 많이 해서 전부 기록하기도 힘들다
아 시팔꺼 진짜
실패 기록 1. 닭꼬치 노점상 (0) | 2017.09.11 |
---|---|
실패 기록 남기기 - 리스트 (0) | 2017.08.25 |
2/22 (0) | 2017.02.22 |
161126 (0) | 2016.11.26 |
4/22 드디어 가맹 문의 (2) | 2016.04.22 |
2/22 사업일지
beefsmallegg
맛이 어수선하다는 피드백이 있었음
좀 더 깔끔하게 개선, 소스를 좀 더 줄이고 간장을 더 늘리는 쪽으로 수정
디포리가 너무 많이 들어가서 그런듯
숙성하는 시간을 좀 더 줄여야 함 - 피드백 원인: 너무 부서지는 육질, 텍스쳐
지옥길을 건너고 있다.
지금 이 시간을 보내고 있는 내 심정을 누가 알아줄까
미친듯이 일하고 몸에 골병들듯이 일하고 있는 지금 내 이 기분을 누가 알아줄까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된다
지금까지 몇 개를 말아먹었는지 셀 수도 없다.
아니 세고 싶지도 않다. 별로 세고 싶지 않다 진심.
이제 이 사업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을까.
정말 간절히 빈다.
이번 사업으로 꼭 자리잡자.
몸이 골병들어도 좋다.
이번만큼은 꼭 자리 잡자.
이 지옥길도 언젠가는 익숙해지겠지
언젠가는
실패 기록 남기기 - 리스트 (0) | 2017.08.25 |
---|---|
시발 얼마나 더 삽질을 해야 하나 (0) | 2017.06.12 |
161126 (0) | 2016.11.26 |
4/22 드디어 가맹 문의 (2) | 2016.04.22 |
3/13 (0) | 2016.03.13 |